INSIGHT
구글 지식 그래프의 대규모 재편성과 AI 전략 전환
구글 지식 그래프의 대규모 재편성과 AI 전략 전환
본 글에서는 2025년 6월의 지식 그래프 재편이 어떻게 현재의 AI 검색 혁신을 가능하게 했는지, 그리고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겠습니다.
1. 구글 지식 그래프의 역할과 중요성
지식 그래프의 정의
지식 그래프는 단순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세상의 정보를 엔티티(entity)와 관계(relationship)로 구조화한 시스템입니다. 사람, 장소, 사물, 개념 등 모든 대상을 독립된 단위로 정리하고, 이들 간의 맥락을 연결하여 구글 검색의 핵심 인프라를 구성합니다.
주요 기능
- 의미 기반 검색 지원: '재규어' 검색 시, 맥락에 따라 자동차 브랜드, 동물, 또는 Mac OS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습니다.
- AI 기능의 데이터 소스: AI Overviews, AI Mode와 같은 최신 AI 기능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답변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지식의 원천으로 작용합니다.
2. 대규모 재편의 실체: 주요 지표 분석
삭제 규모
핵심 재편 지표 (2025년 6월, 약 1주일)
- 삭제 엔티티 수: 30억 개 이상
- 감소율: 전체 그래프의 6.26% 축소
전략적 축소의 의미
2024년 5월부터 2025년 5월까지 지식 그래프는 2.79%의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성장 추세에서 2025년 6월의 6.26% 감소는 기존 성장 추세와 완전히 반대되는 전략적 축소로 평가됩니다. SEO 전문가들은 이를 '구글의 위대한 명확성 대청소(Google's Great Clarity Cleanup)'로 명명하며,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의도적 전략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3. 주요 변화 영역 3가지 분석
변화 1: 이벤트(Event) 엔티티 대폭 축소 (감소율: 76.91%)
주요 대상은 온라인 세미나, 웨비나 등 일시적 이벤트입니다. 구글은 빠르게 변하는 단기 정보보다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정보에 리소스를 집중하는 방향으로 전환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시사점: 일시적 이벤트 페이지보다는 지속 가능한 콘텐츠 구축이 검색 가시성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변화 2: 사물(Thing) 엔티티의 분류 방식 개선 (멀티타이핑 → 유니타입)
약 80억 개 (15.27%)의 사물 엔티티 분류 방식이 전환되었습니다. 구글은 모호한 다중 분류(멀티타이핑)를 버리고, 각 엔티티에 명확하고 단일한 분류(유니타입)를 적용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구분 | 멀티타이핑 (지양) | 유니타입 (지향) |
---|---|---|
정의 | 하나의 대상에 여러 카테고리 부여 | 하나의 명확한 카테고리만 부여 |
예시 | '사물' + '책' + '상품' | '소설책' |
➡️ 시사점: 웹사이트나 브랜드의 카테고리를 명확히 정의하고,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변화 3: 사람(Person) 엔티티의 명확성 강화 (단일 분류 비율 6.62%p 증가)
엔티티가 '사람'인지에 대한 명확성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단일 분류 비율 70.16% $\rightarrow$ 76.78%). 이는 E-E-A-T 평가 정확도 향상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인간 전문가를 식별하고 그들의 콘텐츠에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 시사점: 개인 브랜드나 전문가로서의 디지털 아이덴티티를 명확히 구축하고,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 실무 대응 전략: 명확성 (Clarity) 확보
이번 재편이 시사하는 가장 중요한 원칙은 '명확성'입니다. 구글 AI가 이해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세 가지 대응 영역입니다.
대응 영역 1: 엔티티 분류 명확화
- 권장사항: 웹사이트나 브랜드의 주요 카테고리를 하나로 명확히 정의하고, Schema.org 마크업 활용 시 명확한 타입 지정.
- 점검 항목: 메인 비즈니스 카테고리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는가? Schema 마크업이 일관된 타입으로 구현되어 있는가?
대응 영역 2: 지속 가능한 콘텐츠 구축
- 권장사항: 일시적 이벤트 페이지보다 상시 콘텐츠 중심 구조 구축 및 브랜드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축적할 수 있는 콘텐츠 전략 수립.
- 점검 항목: 일회성 이벤트 페이지가 사이트 구조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 않은가? 오래된 이벤트 페이지에 대한 관리 정책이 있는가?
대응 영역 3: 브랜드 엔티티 모니터링
- 권장사항: Google Knowledge Panel 상태 정기 점검 및 브랜드 관련 주요 키워드 검색 결과 모니터링.
- 점검 항목: 브랜드가 Knowledge Panel에 정확하게 표시되고 있는가? 주요 비즈니스 정보가 일관성 있게 유지되고 있는가?
선제적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이 장기적 검색 경쟁력 확보의 핵심 전략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5. 지식 그래프 재편에서 AI Mode로: 전략의 연결고리
구글은 2025년 6월 지식 그래프를 정제한 직후, 같은 해 8월 AI Mode를 180개국으로 확대했습니다. 정제된 지식 그래프가 AI Mode의 핵심 엔진 역할을 하면서, 복잡한 질문에도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답변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구글 지식 그래프 재편은 AI 신뢰도 향상을 위해 '데이터 양'보다 '데이터 명확성'을 우선하는 방향으로 전환했음을 보여줍니다.
핵심 시사점 요약
- 엔티티 분류의 명확성이 검색 가시성의 핵심 요소로 부상.
- 일시적 콘텐츠보다 지속 가능한 정보 구축이 필요.
- 기업/조직/브랜드 엔티티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체계 구축 권장.
명확성을 중심으로 한 전략적 접근이 향후 검색 가시성과 브랜드 신뢰도 확보의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