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GHT
OpenAI 크롤러 3종의 정체와 대응 전략: GPTBot vs ChatGPT-User vs OAI-SearchBot
OpenAI 크롤러 3종의 정체와 대응 전략 : GPTBot vs ChatGPT-User vs OAI-SearchBot
서버 로그에서 GPTBot, ChatGPT-User, OAI-SearchBot 같은 새로운 User-Agent들을 발견한 적이 있나요?
이들은 모두 OpenAI에서 운영하는 크롤러이지만, 기존 검색엔진 봇들과는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ChatGPT Search 출시와 함께 본격화된 이들 크롤러는 각각 독립적인 목적과 제어 방법을 가지고 있어, 사이트 정책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세 크롤러가 robots.txt에서 개별적으로 제어된다는 것입니다. GPTBot을 차단해도 ChatGPT Search에는 여전히 노출될 수 있고, OAI-Search Bot을 허용해도 콘텐츠가 AI 학습에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런 유연성이 오히려 새로운 복잡성을 만들어내고 있어, 각 크롤러의 정체와 역할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GPTBot: AI 학습의 데이터 수집가
GPTBot은 OpenAI의 핵심 AI 모델인 ChatGPT, GPT-4 등을 훈련하기 위한 데이터를 웹에서 수집하는 크롤러입니다. 이 봇의 정체를 파악하는 것은 콘텐츠 저작권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기본 정보
User-agent: Mozilla/5.0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ompatible; GPTBot/1.1; +https://openai.com/gptbot
GPTBot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수집된 콘텐츠가 실제로 AI 모델 학습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여러분의 블로그 포스트나 제품 설명이 ChatGPT의 응답 생성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제어 방법
저작권이 중요한 사이트에서 GPTBot을 차단하려면 robots.txt에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User-agent: GPTBot
Disallow: /
설정 후 약 24시간 내에 크롤링이 중단되며, 해당 사이트의 콘텐츠는 향후 AI 모델 학습에서 제외됩니다. 다만 이미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소급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ChatGPT-User: 사용자 중심의 실시간 접근자
ChatGPT-User는 다른 두 크롤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작동 방식을 가집니다. 자동 크롤링을 하지 않고, 오직 사용자의 구체적 요청이 있을 때만 웹페이지에 접근하는 특별한 크롤러입니다.
기본 정보
User-agent: Mozilla/5.0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ompatible; ChatGPT-User/1.0; +https://openai.com/bot
ChatGPT-User의 핵심 특징은 예측 가능한 서버 부하입니다. 사용자가 "최근 SEO 트렌드에 대해 설명해줘"라고 질문했을 때만 관련 웹페이지에 접근하므로,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를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는 AI 모델 학습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콘텐츠 보호 측면에서 상당히 안전한 접근 방식으로 보입니다. GPT Actions를 통한 외부 서비스 연동도 이 User-Agent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실무적 고려사항
ChatGPT-User를 차단할 경우, 사용자들이 ChatGPT를 통해 여러분의 콘텐츠에 접근할 수 없게 됩니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참조 트래픽을 포기하는 것과 같습니다. 반면 허용할 경우 사용자 경험 향상에 기여하면서도 콘텐츠 보호 리스크는 낮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OAI-SearchBot: 검색 노출의 관문지기
OAI-SearchBot은 ChatGPT Search 기능을 위한 웹페이지 색인을 구축하는 크롤러입니다. 이 봇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새로운 검색 트래픽 확보와 직결됩니다.
기본 정보
User-agent: OAI-SearchBot/1.0; +https://openai.com/searchbot
OAI-SearchBot의 작동 원리는 Bing 검색엔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Bing에 색인된 사이트일 경우 ChatGPT Search 결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Bing에 색인되지 않았더라도 정확한 URL이 제공되면 검색 결과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이 크롤러가 수집한 데이터는 AI 모델 학습에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순수하게 검색 서비스를 위한 색인 구축에만 활용됩니다.
검색 노출 최적화
검색 트래픽 확보를 원한다면 robots.txt에서 OAI-SearchBot을 허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User-agent: OAI-SearchBot
Disallow: /
또한 OpenAI가 공개한 IP 범위의 요청도 함께 허용하고, 사이트맵을 통해 크롤링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종합 비교 및 전략 수립
각 크롤러의 특성을 한눈에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크롤러 | 주요 목적 | 크롤링 방식 | AI 학습 활용 | 비즈니스 임팩트 |
---|---|---|---|---|
GPTBot | AI 모델 학습 데이터 수집 | 자동 크롤링 | Ο | 콘텐츠 저작권 영향 |
ChatGPT-User | 사용자 요청 처리 | 실시간 접근 | X | 사용자 경험 연관 |
OAI-SearchBot | 검색 색인 구축 | 자동 크롤링 | X | 검색 트래픽 확보 |
목적별 권장 설정
OpenAI 크롤러 3종에 대한 대응은 단순한 기술적 설정이 아닌, 비즈니스 전략의 일부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각 크롤러의 목적과 특성을 정확히 파악한 후, 사이트의 정책과 목표에 맞는 선택적 제어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콘텐츠 보호 우선 전략
AI 모델 학습에 콘텐츠가 사용되는 것을 원치 않지만, 검색 및 사용자 요청을 통한 트래픽은 유지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전략입니다.
User-agent: GPTBot
Disallow: /
User-agent: OAI-SearchBot
Allow: /
- ✓GPTBot: AI 학습용 데이터 수집 차단
- ✓ChatGPT-User: 사용자 요청 기반 접근 허용
- ✓OAI-SearchBot: ChatGPT 검색 결과 노출 허용
트래픽 극대화 전략
콘텐츠 저작권보다 AI 생태계에서의 노출과 트래픽 확보를 최우선으로 할 때의 설정입니다. 모든 종류의 OpenAI 기반 접근을 허용합니다.
User-agent: *
Allow: /
- ✓GPTBot: AI 학습용 데이터 수집 허용
- ✓ChatGPT-User: 사용자 요청 기반 접근 허용
- ✓OAI-SearchBot: ChatGPT 검색 결과 노출 허용
균형 잡힌 접근 전략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면서, ChatGPT를 통한 새로운 검색 유입 경로는 열어두는 균형 잡힌 접근법입니다. 이 전략은 콘텐츠 보호 우선 전략과 동일합니다.
- ✓GPTBot: AI 학습용 데이터 수집 차단
- ✓ChatGPT-User: 사용자 요청 기반 접근 허용
- ✓OAI-SearchBot: ChatGPT 검색 결과 노출 허용
특히 AI 검색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OpenAI의 정책 변경이나 새로운 크롤러 추가 시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공식 문서 확인과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최적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실행 체크리스트
아래 실행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기업 목적에 맞는 OpenAI Crawler 관리 체계를 구축하시길 바랍니다.
- ✓현재 서버 로그에서 OpenAI 크롤러 방문 현황 확인
- ✓비즈니스 목표에 따른 크롤러별 허용/차단 정책 결정
- ✓robots.txt 파일 업데이트 및 문법 검증
- ✓설정 변경 후 24-48시간 경과 후 효과 확인
- ✓지속적인 로그 모니터링 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