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GHT
[DV360] 인벤토리 구매 3가지 핵심 전략(Open Auction, PMP, PG)
DV360 인벤토리 구매 3가지 방법: Open Auction, PMP, PG 완벽 가이드
DV360은 광고 송출 위치(Inventory), 타겟 대상(Audience), 소재(Creative)의 세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됩니다. 이 글에서는 DV360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인 광고 인벤토리(Inventory) 구매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합니다.
DV360 인벤토리의 정의와 분류: 구매 방법 및 종류
Inventory는 DV360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이며, 이를 구매 방법과 인벤토리 종류로 나누어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인벤토리의 두 가지 이해 기준
Inventory의 개념을 '구매 방법'과 'Inventory 종류'로 나누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구매 방법: 광고를 위해 특정 인벤토리를 구매하거나 경매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 인벤토리 종류: 광고가 노출되는 위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여러 웹/앱 등의 묶음일 수도 있고, 특정 웹/앱 자체일 수도 있으며, 특정 웹/앱의 특정 광고 영역일 수도 있습니다.
DV360 인벤토리 구매 방법 3가지 핵심 비교
DV360에서 인벤토리를 구매하는 방식은 구매(경매) 방식의 폐쇄성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 비교 항목 | Open Auction | PMP (Private Marketplace) | PG (Private Guaranteed) |
|---|---|---|---|
| 참여 방식 | 무제한 참여 (개방형 경매) | 사전 등록된 참여자만 비딩 (제한된 경매) | 1:1 단독 계약 |
| 가격 결정 | 경매(Bidding) | 최소 비딩 가격(Floor Price) 존재 | 고정 CPM |
| 인벤토리 | 다양한 퍼블리셔의 일반 인벤토리 | 특정 퍼블리셔 또는 특정 테마 패키지 | 특정 퍼블리셔의 고급 인벤토리 |
Open Auction (개방형 경매)
무제한 참여가 가능한 다수의 구매자(광고주)와 공급자(퍼블리셔) 간의 비딩(Bidding)을 통해 광고가 송출되는 방식입니다.
웹페이지에 보이는 배너 및 영상 광고의 대다수가 Open Auction 형태로 구매되는 광고입니다. Open Auction 방식은 별도의 사전 작업 없이 DV360 세팅 옵션을 통해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너 광고를 위해 "Google Ads Manager"를 선택하면 Google Ads가 보유한 인벤토리 네트워크(GDN)에만 비딩하게 됩니다. DV360에서는 Open Auction을 통해 CTV(Connected TV)나 DOOH(디지털 옥외광고) 인벤토리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Private Marketplace (PMP, 참여가 제한된 경매)
사전에 등록된 참여자들만 비딩에 참여할 수 있는 제한된 경매 방식입니다.
제한된 참여자끼리 비딩이 진행되며, 최소 비딩 가격(Floor Price)이 설정됩니다. PMP 형태의 Deal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는 Spotify, The Guardian 등 단일 퍼블리셔 지면에 비딩하는 Marketplace 형태입니다. 둘째는 Full Screen Mobile App Video, Black Friday 등 특정 테마 관련된 지면들의 패키지에 비딩하는 Inventory Package 형태입니다. PMP는 DV360의 "My Inventory" 또는 "Marketplace" 섹션에서 탐색하고 참여할 수 있습니다.

Private Guaranteed (PG, 단독 계약)
PG는 단독 계약으로, 퍼블리셔와 광고주가 1대1로 계약하는 형태입니다.
PMP가 최소 입찰가(Floor Price)를 갖는 것과 달리, PG는 고정 CPM(Cost Per Mille)으로 구매하게 됩니다. PG는 Marketplace에서 계약할 수 있으며, 동일한 퍼블리셔더라도 PMP로 계약할지 PG로 계약할지는 광고주의 선택입니다.
Open Auction 대신 PMP 또는 PG를 활용하는 경우
PMP와 PG는 Open Auction에서 판매되지 않는 고급 인벤토리에 접근하거나 세부적인 지면 통제가 필요할 때 활용됩니다.
- Open Auction에서 판매하지 않은 퍼블리셔에 접근 가능: Spotify 등 Open Auction에서 판매하지 않는 퍼블리셔의 인벤토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지면의 고급 인벤토리만 사용하는 등의 세부적인 지면 통제 가능: PMP나 PG는 이러한 세부적인 사항을 별도로 요청할 수 있습니다.
- 명확한 광고 테마가 있을 때 적합한 인벤토리 패키지 사용 가능: 선거철 특수 지면이나 디바이스 스크린 50% 이상 노출 보장 인벤토리 패키지 등 명확한 광고 테마가 있을 때 유용합니다.
실제 PMP Deal 생성 프로세스 (Marketplace 활용)
DV360 Marketplace에서 PMP Deal을 생성하는 실무 과정을 설명합니다.
예시 상황: 광고주가 Spotify에 Audio 광고를 집행하고 싶어합니다. Spotify Ad Platform에서 직접 세팅할 수도 있지만, 세팅 공수가 크게 들어 DV360에서 간단하게 운영하려 합니다.
1. 퍼블리셔 선택 및 Request Proposal 요청
DV360의 Marketplace로 이동하여 Format: Audio를 선택하거나 검색 창에 Spotify를 검색합니다. 검색 결과에서 Impression이 기록되는 항목을 선택하고 Request Proposal을 클릭합니다. 우측 팝업 창에서 간단한 Demo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RFP (제안 요청서) 기입 필수 정보
팝업창의 Request Proposal을 통해 제안 요청서(RFP)에 필요한 정보들을 기입합니다. Spotify는 이 문서를 검토한 후 Floor Price와 함께 RFP에 대한 승인 여부를 회신합니다.
- CC: 해당 RFP에 대한 Spotify의 답변을 함께 받을 이메일 주소 목록을 입력합니다.
- 예산과 기간을 입력합니다.
- 희망하는 Inventory Type을 "Non-guaranteed"(PMP) 또는 "Guaranteed"(PG)로 선택합니다.
- 포맷(Format)을 Audio로 입력합니다.
- 디바이스(Device)와 집행 국가를 선택합니다.
- 해당 RFP를 통해 광고를 집행할 DV360 Account를 선택합니다.
3. RFP 추가 정보 및 오디언스 타겟팅
이 단계는 RFP에서 가장 중요한 파트입니다. 앞서 언급된 항목 외의 오디언스 타겟팅 등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Additional RFP Details" 영역에 서술합니다.
광고주가 요청하는 오디언스 타겟팅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해당 퍼블리셔의 Media Kit을 입수하여 확인하거나, 1단계 UI 우측에 있는 퍼블리셔 연락처로 RFP 작성 전 연락하여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4. Deal 생성 완료
RFP를 제출하고 퍼블리셔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모든 절차가 완료되고 퍼블리셔의 승인이 이루어지면, "My Inventory" 섹션에 Deal이 생성됩니다. 이 Deal을 DV360 광고 세팅에 삽입하면 PMP Deal을 통한 광고 집행이 가능하게 됩니다.
DV360 인벤토리 구매 전략 및 활용
더 자세한 내용이나 구체적인 세팅 및 광고 운영 문의가 있다면
언제든지 아티언스에 문의해주세요!
- 문의 방법: 온라인 문의, 전화 상담
- 제공 서비스: 디지털 마케팅 전략 수립, Paid Media 운영, SEO 최적화, 성과 분석 리포트